주요 내용으로 돌아가기
국내전 입상작

회전하는 스쿱 스트레처

회전축을 도입한 스쿱 스트레처

  • 회전 스쿱 스트레처

  • 사용방법

  • 블레이드 모양

  • 립 구조

  • 재질

작품의 기능

이 제품은 척추 손상 환자를 위한 보조 들것입니다. 두 개의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기존 스쿱 방식과 달리, 하나의 잠금장치와 머리 블레이드 아래 두 개의 회전축을 사용하여 몸통을 지지하는 판재를 환자의 몸 아래로 끼워 넣는 "스쿱' 방식입니다. 따라서 환자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게 주 들것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.


영감의 원천

소방교육에 참여하여 scoop stretcher를 사용해 본 경험을 기반으로, 작업 강도가 높고 손목에 무리가 가며 복잡한 사용 방식 등의 현재 scoop stretcher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싶었습니다. 특히 판재를 환자의 몸 밑으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하여 더욱 개선된 scoop 방식을 고안하고자 하였습니다.


작동원리

본 제품은 머리 판 아래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몸통을 지지하는 두 개의 판재가 가위처럼 벌어졌다 모아집니다. 환자 발생 시 다리 쪽 잠금장치를 해제한 후 판재를 양쪽으로 벌려줍니다. 그 다음 환자의 머리에 머리 판을 끼운 뒤, 벌렸던 판재를 다시 모아 환자를 ‘Scoop’ 방식으로 들것 위로 옮깁니다. 각 블레이드의 모서리에는 환자의 몸 아래로 잘 들어갈 수 있도록 경사지게 처리되어 있으며, 블레이드의 모서리 형태는 한국인의 체압 분포 분석을 바탕으로 가장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형태로 설계되었습니다. 잠금장치는 두 개의 블레이드가 그리는 호의 곡률을 갖고 있어서 오므리는 동작만으로 결합됩니다.


개발 과정

사고 발생 시 가장 먼저 환자에게 이용되는 제품이기에, 더욱 신속한 사용과 구급대원과 환자 모두가 안전하게 이용 가능한 제품을 개발하고자 했습니다. 더욱더 간단한 동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두 개의 회전축을 도입하였고, 환자의 몸 밑에 판재를 쉽게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신장 및 체압 분포 분석과 프로토타입 실험을 통해 적합한 블레이드 형태를 개발하였습니다. 손잡이는 2인과 3인이 사용하는 경우에 모두 적합하며 손목 꺾임이 적은 형상으로 프로토타입 실험을 통해 개발하였습니다. 최종적으로는 1/3 크기의 프로토타입까지 진행하였습니다. 또한 한국인의 신장 및 체압 분포도 분석을 통해 모든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고, 가장 효율적이며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형태 구조입니다.


독창성

기존의 scoop stretcher는 머리와 다리 쪽 잠금장치 모두를 해제한 뒤, 분리된 두 개의 블레이드를 각각 환자의 측면으로 밀어 넣은 다음 두 개의 잠금장치를 결합하는 방식이었습니다. 이 과정에서 양 블레이드의 위치가 정확하게 맞지 않아 잠금장치 체결에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. Rog-roll 자세보다 척추 움직임을 줄인 scoop 방식이기는 하지만, 환자의 측면을 들어 올려 각 블레이드를 끼워 넣는 방식은 여전히 어느 정도의 척추 움직임이 발생하고, 환자의 측면을 들어올리는 사람과, 블레이드를 끼워 넣는 사람이 존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. 반면에 본 제품은 다리 쪽 잠금장치만 해제한 후 환자의 머리 아래로 머리 블레이드를 끼워 넣은 다음 회전축을 중심으로 벌어진 두 개의 블레이드를 모아 결합하는 방식입니다. 이러한 사용 방식은 한 사람이 다리쪽에서 양 블레이드를 결합함으로써 구급대원으로 하여금 보다 쉽게 환자의 몸 아래로 블레이드를 위치할 수 있게 합니다. 결과적으로 전체 사용 과정이 축소되어 긴급한 구조 상황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.


향후 계획

실제 규격에 맞는 1:1 크기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팀원 간의 실험을 거친 후, 실제 소방대원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며 실질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조와 형상을 보완할 예정입니다. 그 후 특허를 등록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구조 작업에 도입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.


수상 내역


끝. 주요 내용의 처음으로 돌아가기

지역 선택하기